Quick Menu

Quick Menu

Quick Menu

맑은머리광장

진료시간

  • 평일 09:00 ~ 18:00
  • 점심시간 13:00 ~ 14:00
  • 토요일 09:00 ~ 13:00

토요일은 점심시간 없음 / 일요일,공휴일 휴진

02-939-2075

건강칼럼

  • 맑은머리광장
  • 건강칼럼

제목

열 오르며 경련하는 아이…뇌전증과 다른 ‘이 질환’일 수도

아이의 이마가 갑자기 불덩이처럼 뜨거워지면서 의식을 잃고, 몸을 심하게 떨거나 뻣뻣해지는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아이가 특별한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면, 5세 미만의 아이들에게서 종종 확인되는 ‘열성 경련’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열성 경련은 왜 발생하는 것인지, 경련을 유발하는 또 다른 질환인 뇌전증과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아이가 갑자기 열이 오르며 발작 증상을 보인다면 ‘열성 경련’일 수 있다|출처: 클립아트코리아갑자기 열 오르다 발작 증상 발생…대부분 큰 후유증 없어열성 경련은 비뇌전증성 발작 질환 중 하나로, 주로 6개월에서 5세 사이의 아이들에게 발생하는 증상이다. 아이가 △감기 △독감 △중이염 등의 감염성 질환에 걸려 급격하게 열이 오를 때 주로 발생하며, 예방접종 후 부작용으로 발열이 있을 때에도 열성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어린 나이의 아이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어린 나이에는 뇌가 미성숙한 만큼 성인보다도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열성 경련은 크게 ‘단순 열성 경련’과 ‘복합 열성 경련’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순 열성 경련의 경우 열이 38~39도 이상으로 급격하게 오르는 시점에 갑작스럽게 몸이 굳거나 힘이 빠지면서 떨리는 등의 발작 증상을 보이며, 1~2분 정도 지속되다 빠르게 정상 상태로 돌아오는 것이 특징이다. 또 열이 아직 가라앉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하루에 2회 이상 반복해서 발생하지는 않는 편이다. 이렇게 단기간, 갑자기 발생한 열성 경련은 특별히 후유증을 남기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하루에 여러 차례 발작이 발생한 경우 △발작 지속 시간이 15분 이상 긴 경우 △발작 증상이 전신이 아닌 국소적으로 나타난 경우라면 ‘복합 열성 경련’으로 봐야 한다. 이 경우에는 뇌나 신경 손상이 우려되는 만큼 즉시 병원으로 가 초기에 항경련제를 복용하는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뇌전증과는 원인과 치료법 모두 달라…이행되는 경우도 드물어열성 경련과 뇌전증은 원인과 증상, 치료법까지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뇌전증은 뇌의 신경세포 이상으로 인해 과도한 흥분 상태가 반복되는 만성 뇌질환이다. 뇌전증으로 인한 발작은 5분 이하의 짧은 경련과 발작 증상이 불규칙적으로 반복해서 나타나며, 특별한 발열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다. 열로 인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열성 경련과는 원인과 증상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또한 뇌전증이 발생했다면 꾸준히 발작을 조절하는 약물 치료를 받아야 하며, 약을 중단하면 성인기 이후로도 발작이 지속될 수 있다. 반면 일반적인 단순 열성 경련의 경우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으며, 5세 이후로는 재발하지 않는 편이다. 열성 경련을 앓았던 아이가 일정 시간이 지나서 뇌전증 진단을 받는 경우가 극히 드물게 있지만, 두 질환 사이의 연관성이 확실하게 확인된 것은 아니다. 복합 열성 경련을 앓아 뇌나 신경 손상을 입은 경우 상대적으로 뇌전증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경우도 있지만, 전체의 3% 미만으로 드문 만큼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열 오르지 않게 평소 관리 중요…증상 있으면 차분하게 대처해야열성 경련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의 열을 잘 관리하는 것이다. 감기나 독감 같은 질환이 유행할 때에는 예방접종을 통해 감염을 예방하고, 아이가 열이 날 때에는 즉시 해열제를 사용하여 체온을 조절해야 한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통해 아이의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아이가 갑작스럽게 열성 경련 증상을 보인다면 먼저 아이를 평평한 바닥에 눕히고, 뾰족하거나 깨질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물건을 주변에서 치워야 한다. 답답한 옷이나 목을 감싸는 가제 수건 등은 풀어 주고, 아이를 옆으로 돌려 눕혀 입에서 자연스럽게 침 등 분비물이 흘러나와 편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모든 과정에서 보호자의 침착하고 차분한 대처가 가장 중요하다. 놀라서 큰 소리를 내면 아이가 더욱 당황하고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의 안전을 확보했다면 증상이 가라앉기를 기다리면서 차분하게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간혹 아이의 회복을 돕기 위해 팔다리를 잡고 주무르거나 바늘로 손을 따는 경우도 있는데, 오히려 아이가 더욱 크게 다칠 수 있는 만큼 되도록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억지로 팔다리를 잡고 있다 보면 아이의 근육이나 뼈가 다칠 수 있는 데다, 소독하지 않은 바늘로 손을 찌르면 세균에 감염되어 파상풍에 걸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경련이 멎으면 가능한 빠르게 병원에 가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만약 바이러스나 세균 등이 중추신경계까지 감염되어 뇌수막염, 뇌염 등의 질환까지 가져온 경우라면 질환에 맞는 별도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이가 6개월 미만이거나 5세 이상인 경우에는 뇌전증이나 다른 신경계 질환 등을 의심해야 할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